투석환자의 칼슘,인 작용기전,급여기준에 대해알아보기
인결합체 종류별 작용기전
:인은 신장에서 주로 배설되므로 신기능 저하시 인 배설 장애가 일어나 고인산 혈증이 된다
->비타민D의 최종 활성화효소는 신장에 있으므로 신기능 저하로 인해 활성형 비타민D가 부족해진다
이에 따라 장을 통한 칼슘흡수가 감소하여 저칼슘혈증이 된다
->혈청 칼슘농도가 떨어지면 부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어 뼈에서 칼슘을 빼내어 칼슘 농도를 유지하려 한다
->따라서 신부전 환자에서는 통상적으로 고인산혈증, 저칼슘혈증, 부갑상선호르몬 증가가 나타난다
1.인결합제
인결합제는 음식물 중의 인과 결합하여 소화흡수를 막고 대변을 통해 배설된다
1)칼슘기반
-칼슘이 함유된 인결합체는 인과 결합하는 정도를 극대화하기위해 식사중 결합해야한다
cacium carbonate 탄산칼슘 | calcium acetate (Phoslo) 초산칼슘 | |
인결합능력 | 적음 | 2배많음 |
칼슘상승효과 | 높음 | 적음 |
부작용 | 고칼슘혈증, 변비, 복부 불편감, 식욕부진 등 |
2.비 칼슘기반
sevelamer | 종류 | 레나젤,렌벨라 |
설명 | 장에서 인산이온과 결합하는 양이온 중합체. 고칼슘혈증 위험을 줄일수있음.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는 작용도있음. 인흡착능력은 탄산칼슘의 2/3 정도임 |
|
부작용 | 변비,복부팽만감,장천공 가능성있음 | |
Lanthanum carbonate | 종류 | 포스레놀 |
설명 | 칼슘기반 인결합체와 비슷한 수준의 조절효과. 란타늄의 장관흡수율은 낮지만 장기간 사용에 따른 장기축적효과에 대해 관찰이 필요함. 세벌라머에 비해 변비가 적음 | |
부작용 | 구역감 | |
aluminum hydroxide | 종류 | 암포젤 |
설명 | 인 조절효과가 좋으나 장기사용시 알루미눔 축적에 의한 뇌종, 골질환 등이 나타날수있어 일반적으로 투석환자에게 사용하지않음. 인농도가 너무높을때 단기간으로 사용하여 농도를 조절하고 다른 인결합체로 전환해야함 |
|
부작용 | 변비, 구역감, 장기투여시 알루미늄 뇌증 ,알루미늄 골질환 |
2.비타민D
음식으로 섭취된 비타민D는 간과 신장을 거쳐 활성화 된 비타민D 인 칼시트리올이 된다
신기능이 감소되면 칼시트리올 합성이 줄어들기때문에 투석환자들에게는 약물로 투여하게 된다
칼시트리올은 장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를 높이고 칼슘에대한 부갑상선의 민감도를 증가시켜 부갑상선호르몬농도를 낮출수있다
calcitriol | 종류 | 경구약: 칼시오 정맥주사: 본키주사 |
설명 | 비타민D의 최종 활성화 물질이다 장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를 높이고 , PTH 과도한 분비를 억제한다 |
|
부작용 | 칼슘, 인의 흡수 증가로 고칼슘혈증, 칼슘-인 생성물 증가의 위험 | |
paricalcitol | 종류 | 정맥주사: 젬플라 |
설명 | 칼슘과 인 수치에 대한 영향은 크지않으며 PTH 억제효과 (보험인정기준 : 칼시트리올 주사제로는 PTH 농도가 감소되지않는경우임 -지속적으로 300이상) |
3.calcium sensor receptor
부갑상선세포의 칼슘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외 칼슘농도가 상승한 경우와 유사하게 부갑상선호르몬 분비를 억제한다. 따라서 칼슘농도에는 영향을 주지않고 부갑상선호르몬 농도를 개선할수있다
cinacalcet HCL | 종류 | 경구약: 레그파라 |
설명 | 만성신부전 환자와 관련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 |
약제별 특징 | ||||
PTH | 칼슘 | 인 | RIsk | |
calcium carbonate 탄산칼슘 |
낮음 | 높음 | 낮음 | hypercalcemia 고칼슘혈증 |
calcium acetate 초산칼슘 ,포슬로 |
낮음 | 높음 | 낮음 | vascular calcification 혈관석회화 |
severlamer 렌벨라 | - | - | 낮음 | acidosis, GI trouble 산증, 위장관문제 |
lanthanum carbonate 포스레놀 |
- | - | 낮음 | lanthan retention 란타늄 보유 |
aluminum hydroxide 암포젤 |
- | - | 낮음 | aluminum retention 알루미늄 보유 |
비타민D | 낮음 | 높음 | 높음 | hypercalcemia 고칼슘혈증 |
cinacalcet HCL 레그파라 |
낮음 | 낮음 | 낮음 | hypocalcemia 고칼슘혈증 nausea/ vomiting 오심/구토 |
4. 인결합제 종류별 급여기준
비칼슘기반 인결합제 | lanthanum 포스레놀 | 신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 ESRD 중 인 제한 식이요법에도 불구하고 약제투여전 혈중인 수치가 5.6 mg/dl 이상인경우 -> 다만 동 약제 유지요법중인경우 혈중인 수치가 4.0mg/dl 이상에서 인정함 |
sevelamer 렌벨라 | 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 ESRD 중 인 제한 식이요법에도 불구하고 약제 투여전 혈중인 수치가 5.5mg/dl 이상인경우 -> 다만 동 약제 유지요법의 경우 혈중인수치가 4.0 mg/dl 이상에서 인정함 |
|
calcium sesor receptor | cinacal Hcl 레그파라 |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보이는 투석중인 만성신부전 환자로서 약제를투여하기전 혈청칼슘이 9.0mg/dl 이상이고 부갑상선호르몬 PTH 수치가 300pg/ml이상인경우 ->다만 동 약제 투여중 부갑성호르몬이 150이상인경우는 지속투여 인정함 |
비타민 D | calcitriol | 활성형 비타민D3제제의 투여기준은 혈중 칼시트리올이 감소되어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을 유발할때로서, GFR 사구체여과율이 40ml/min 이하면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200pg/ml 이상의 소견이 있거나 GFR이 25ml/min 이하인경우 ->허가사항 중 골다골증 경우에는 골다골증 치료제 일반원칙에 의하여 요양급여 인정함 |
paricalcito | 만성신부전으로 인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는 환자 중 투석을 받는 환자로서 칼시트리올 주사제로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혈중 농도가 감소되지않는 지속적으로 300이상의 환자에 한하여 인정함 |
출처: 혈액투석 지침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칼륨혈증 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3.04.20 |
---|---|
혈액투석 용수관리 (0) | 2023.04.19 |
투석시 수혈에 대해 알아보기 (4) | 2023.04.17 |
투석환자의 빈혈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6 |
투석중 응급상황인 투석불균형 증후근,저혈압,고혈압,근육경련,바늘분리시 대처방법에 대해알아보기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