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ubation ,i-gel 알아보기
기관삽관
-전신마취시 , 폐질환( 폐렴, 폐부종 등) 치료, 저산소증(PO2 저하),저환기 (PCO2증가), 상기도폐쇄를 일으키는질환을 가진환자,심한 두부외상으로 인한 뇌출혈환자,약물중독으로 의식저하가된환자,무호흡, 기관지 내 suction 필요한 경우 같은 적응증뿐만아니라 arrest (심정지), 길랑바레 증후군 과같은 다양한 상황에서도 기관삽관이 필요할수있다
기관내삽관은 하나의 처치에도 많은 부분을 신경 (처방,소모품등록, 기록) 써야하는 간호사는 많은것을 동시에 할수가없다 그래서 응급상황일 경우 주변 선생님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것도 방법일 수있다
알리고 나면 역할분담을 할수있는데 자신이 담당간호사인지 아닌지의 상황두고 풀어나가야한다
담당간호사일경우
-환자를 발견하고 먼저 주변에 알린후 환자의 의식을 사정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나 의식저하가 관찰될 경우 ambubag으로 환자의 호흡을 도와주면서 주변 선생님들에게 의사 notify와 intubation 준비를 부탁할수있다.
-의사가 도착하고 intubation이 시작되면서 담당간호사인 나는 다른선생님과 역할을 바꿔서 간호기록, 처방확인, 소모품 등록 등을 하고 다른 선생님들은 intubation과정을 assist할수있다
-intubation이 완료되면 담당간호사가 확인해야할사항은 intubation tube의 크기와 깊이 ( Ex. 7.5mm , lip 23cm고정),
chest X-ray, ABGA F/U, intubation 과정에서 사용된 소모품 (Ex. endotracheal tube 7.5mm, bite block, airway 등)
,intubation 과정에서 구두처방내역 (Ex. 진정제, 근이완제 등 사용한 약물), Ventilator(인공호흡기) 적용시 mode 와 setting 값 확인한다
-> 이렇게 여섯가지 사항 드을 확인하여 소모품 분실이 없게 하고 구두를 처방받았다면 의사에게 전산으로 처방을 받아야한다
삽관후 chest x-ray 를 통해 삽관의 위치를 파악할수있는데 너무깊이 들어간경우 한쪽 폐로는 산소가 공급되지않아 무기폐를 유발할수있으니 주의해야한다.
intubation위치는 endotracheal tube 끝이 carina(기관분지)에서 2-5cm 위에 위치하는것을 권고한다
intubation준비물
-intubation tube
-blade & laryngoscope
-생리식염수
-stylet (가이드 역할)
-주사기
-고정용 테이프
-커프압력계
-멸균장갑
-약물( 진정제,근이완제)등
-흡인 준비
-ambubag
-O2 flowmeter
-airway or bite block
-청진기
-환자 후두부 받칠것
-신체보호대
intubation 과정
1.10cc주사기를사용해서 E-tube 의 ballooning 확인하고 새는곳이 없으면 공기를 제거하고 멸균증류수에 담궈서 준비한다
멸균증류수에 담그는 이유는 윤활제 역할이기 때문임
->balloonig 자체를 멸균증류수에 담그면서 하는방법도있음
2.stylet 끝부분을 하키채모양으로 구부러줘야하는데 intubaion 시 smooth하게 잘들어가기위함이다
->멸균장갑을착용하고 손으로 구부러주는 방법도있지만 급박한 상황에서 못할수도있다
->e-tube 안에 stylet 넣고 증류수병을 이용해 끝을 구부리는 방법도있다
-> stylet 끝부분이 E-tube 바깥쪽으로 나올경우 기관내 점막을 손상시킬수있는위험때문임
3.laryngoscope handle 에 blade 연결하고 불빛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간호사가 의사에게 건넬때 의사방향으로 전달하기
4.laryngoscope넣고 의사가 시야가 확보되면 튜브달라고할때 준비해놓은 E-tube 건네는데 이것도 주치의 시점으로 줘야한다
5.튜브들어가면 stylet 빼고 airway 넣고 ballooning 하면된다
->laryngo scope 나 airway 둘중 하나는 입속에 있어야함 (환자가 E-tube 깨물지 않게하기위함)
->ballooning 했다고 안빠지는게 아니라 고정전까지 E-tube 잡고있어야한다
6.ambu-bagging하면서 잘고정됬는지 주치의가 확인하는데
both anterior & both lateral chest 청진하면서 확인한다
7.고정할때는 주치의가 고정해달라는 위치에하기
i-gel 이란?
기도확보를 목적으로 구강을 통하여 삽입되는 호흡보조기로 2007년 영국에서 개발되어 커프없이 열가소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성문상부 접근의 기관삽관기구로 최근 사용이 쉽고 용이하여 소아마취 혹은 응급기관 삽관등의 영역에서 널리이용되고있
i-gel 사이즈
회색 (사이즈 2.0): 환자 몸무게가 10-25 kg
흰색( 사이즈 2.5): 환자 몸무게 25-35kg
노란색 ( 사이즈 3.0):환자 몸무게 30-60kg
초록색 (사이즈 4.0): 환자 몸무게 50-90kg
i-gel 사용방법
1.윤활제가 도포된 i-gel의 bite black 부분을 잡는다.( 윤활제는 bite black 부분에 발라준다)
i-gel의 구멍이 환자의 턱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 방향을 잡는다
2.환자는 두부후굴하악거상법을 취할때의 자세를 취하게 한후 환자의 턱을 살짝 눌러 입이 벌어지게한다
3.부드러운 cuff의 끝부분을 경구개를 향하도록 하여 환자의 입에 넣는다
4.확고한 저항이 느껴질때 까지 부드럽게 계속하여 환자의 경구개를 따라와 뒤와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듯이 밀어 넣는다
5.이 시점에서 제품의 끝부분은 식도 입구 위에 위치하고 cuff는 후두개에 붙어있어야한다.
제품의 bite black 부분(가로선)은 앞니 쯤에 있어야한다
6.삽입후 양 상악골과 테이핑하여 i-gel 고정한다
7. 필요시 적합한 크기의 비강영양튜브를 gastric channel을 통해 집어넣을 수있다
->흉부압박 8-10회당 앰부백을 1/3 눌러주는데 흉부압박시 아이겔이 밀려나올수있어
앰부백짤때 i-gel 을 눌러주면서 짜줘야한다
출처:옆집간호사 구슬언니, 프셉마음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알아보기 (0) | 2023.04.25 |
---|---|
복막투석 ,peritoneal dialysis 알아보기 (0) | 2023.04.24 |
환자모니터에 대해알아보기 (0) | 2023.04.22 |
혈액투석환자의 식이요법 (0) | 2023.04.21 |
고칼륨혈증 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