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응고제 ( 프레탈정, 헤파린, 와파린, 플라빅스 ,아스틱스)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플레탈정
적응증
-항혈소판제 (만성동맥 폐색증에 의한 궤양,동통 및 냉감 등의 허혈성제증상의 개선)
-혈소판응집을 억제하고 혈관확장작용을나타냄
부작용:발진,피진,소양감,빈맥,현기증,두통,오심,구토,BUN , OT/PT 상승
간호사정
-불규칙한 심장박동,다리/발목 부종,가슴이 두근거림,흉통, 검은변, 혈뇨나 혈변, 코/잇몸의 출혈, 피부발진이나 두드러기 ,비정상적인 타박상, 비정상적인 과량의 월경출혈, 호흡곤란
간호중재
-자몽주스와 함게 복용해서는안된다 ( 자몽에 칼륨이 풍부하므로 함께 복용시 약의 대사과정을 자몽이 방해하여 약효를 떨어뜨린다)
-금기:출혈이 있는 환자
-코피,멍,생리과다등 비정상적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기
-수술 전 반드시 이약의 투여사실을 담당의에게 알리기
-가슴통증 ,숨참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가와 상의
-음식물과 함께 복용시 이상반응을 증가할수있으므로 주의하기
2.아스틱스
적응증:해열진통소염제, 혈전증치료제
부작용:장기다량투여시 과호흡,빈혈,신장애,간장애,발진,부종,천식,이명,난청,현운,오심,혈소판 기능이상,식욕부진,위통,소화관출혈
간호사정
-신중투여:위장관출혈,출혈성 소질이 있는 간질환환자
-환자가 시술 또는 수술, 발치 받기로 예정되어있는 경우 항혈소판 효과각 바람직하지않은 경우에는 투여중단을 고려해야한다
간호중재: 위장장애, 구토, 위통,이명,청각이상 ,혈변, 호흡곤란, 어지러움,정신 혼미,혈우병,출혈성 궤양
3. 플라빅스
적응증:동맥경화증 (뇌졸증,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 질환) 이 있는 환자에서 동맥경화성 증상의 감소
부작용:출혈이상,소화불량,복부통,오심,구토,설사, 변비, 위십이지장궤양,두통,어지러움,현운,감각이상,간효소치 상승,호중구 감소증
간호사정
-신중투여:위장관출혈,출혈성 소질이 있는 간질환환자
-환자가 시술 또는 수술, 발치 받기로 예정되어있는 경우 항혈소판 효과각 바람직하지않은 경우에는 투여중단을 고려해야한다
간호중재:흉통,간헐적 출혈 또는 멍, 피가섞인 구토,어두운소변,피가 섞인 설사 혹은 대변 또는흑갈색 대변
4.안플라그정
적응증: 만성동맥 폐색증( 버거시병,폐색성동맥경화증, 당뇨병성 말초혈관병증 등)에 의한 궤양, 동통 및 냉감 및 허혈성 제증상 개선
부작용: 때때로 빌리루빈, 간수치상승,과민증, 식도의 이물감, 가슴쓰림,복통, 변비, 식욕부진,복부팽만, 설사 ,심계항진,흉통,현기증,단백뇨,뇨잠혈, BUN ,Cr 의 상승, 빈혈 ,출혈경향증가
간호사정
-신중투여:위장관출혈,출혈성 소질이 있는 간질환환자
-환자가 시술 또는 수술, 발치 받기로 예정되어있는 경우 항혈소판 효과각 바람직하지않은 경우에는 투여중단을 고려해야한다
간호중재
-이약을 투여중에는 정기적으로혈액검사를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 변비,설사,식욕부진,복부팽만감, 졸음, 현기,두통,체중증가,권태감,마비감, 뇨나 변에 피가 섞여나올때, 코피가 잦을때, 발진,발적,가려움,숨이 차고맥박의 이상이 생길때,손발이 부을때 ,어지럼증이 심할때
5.와파린
적응증:정맥혈전증, 폐색전증, 혈전색전의 질환의 예방과치료 , 색전의 위험이있는 심방세동, 심근경색후 전신적 색전증의 예방을 위한 보조제
부작용:피부염,담마진,탈모,발열 ,위장장애,백혈구감소,출혈
간호사정
-신중투여:위장관출혈,출혈성 소질이 있는 간질환환자
-환자가 시술 또는 수술, 발치 받기로 예정되어있는 경우 항혈소판 효과각 바람직하지않은 경우에는 투여중단을 고려해야한다
간호중재
-매달 월초검사시 PT/PTT, INR 검사를 시행하여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이상출혈이나 멍,혈뇨,피로감,원인 불명의 열,오한 ,인후염,위통
**주의
-바람직한 치료반응에 도달한 후에 제약회사 다른제품으로 바뀌지 않음
-활동성 결핵이나 당뇨환자는 주의하여 사용
-비타민 K 병용은 항응고효과를 감소시킬수있음
-NSAID 나 아스피린의 병용은 심한 위장관의 자극을 일으키고, 혈소판기능 장애로인한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킬수있음
-salicylate는 혈장단백결합부위에서 와파린을 치환하여 와파린의 효과를 증가시킬수있음
-헤파린 병용시 정맥투여 5시간후 ,피하주사는 투여 24시간 후 복용하기
-차광보관하기
6.헤파린
적응증:혈액응고저지제
부작용: 알레르기반응, 혈소판감소 ,비출혈, 백반, 원형탈모증,장기투여시 골다골증,신장애
간호사정
-신중투여:위장관출혈,출혈성 소질이 있는 간질환환자
-환자가 시술 또는 수술, 발치 받기로 예정되어있는 경우 항혈소판 효과각 바람직하지않은 경우에는 투여중단을 고려해야한다
간호중재
-용량을 혈액응고시험으로 조절하고 응고시간이 심하게 길어지거나 출혈이 있으면 투여를 잠시 중단한다
-출혈검사 등 출혈관리를 충분히 한다
-급하게 투여를 중지하는 경우 혈전이 생길수있으므로 서서히 감량한다
-이약의 항응고 작용을 급히 중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황산프로타민을 투여한다
-혈소판 수가 현저히 떨어지면 치료를 중단해야한다
->탈모, 천명이나 호흡곤란이 나타날때, 피부발진이나 가려움,두드러기가 나타날때, 얼굴이나 입술,혀 부을때 ,혈뇨나 혈변이 나타날때 , 검은 타르질의 변이 나타날때 ,붉거나 커피색의 구토가 나타날대 , 원인 모를 코피가 날때
출처 -슬기로운 인공신장실 생활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코마이신, 씨프로바이정,아목시실린에 대해알아보기 (0) | 2023.04.12 |
---|---|
항생제에 대해알아보기 (0) | 2023.04.11 |
카리메트,아가메이트,베노훼럼,레날민 등 알아보기 (0) | 2023.04.09 |
인슐린,씨시본정,네프로정,포슬로정,렌벨라정,본키주사,칼씨오 연질캡슐 알아보기 (1) | 2023.04.08 |
동정맥루 알아보기 , 자가동맥루와 인조정맥루 (0) | 2023.04.07 |